[상식] 논리 게이트 (논리 회로)

728x90
반응형

우리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무언가를 비교하여 결과를 얻어 내거나 

뭔가 액션에 의해 동작 또는 시간적 딜레이 그리고 순차 제어 등의 많은 용도에서 논리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먼저  알아볼것은 AND 게이트이다. 

아래는 2개의 INPUT을 가진 기본형태이다. 

A와 B가 보두 1이어야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진리표는 아래와 같다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INPUT이 2개 이상인 것도 존재한다. 

그런경우에는 INPUT이 모두 1이어야만 출력이 1이 된다. 

 

C언어의 형태로 Y를 출력이라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IF (A && B){
	Y = 1

}ELSE{
	Y = 0
}

 

 

 

다음은 OR 게이트이다. 

INPUT으로 들어가는 A와 B 둘 중 하나만 1이라도 출력이 1이 된다. 

IF (A || B){
	Y = 1

}ELSE{
	Y = 0
}

 

다음은 NOT 게이트이다

 

간단하게는 1을 넣으면 0, 0을 넣으면 1이 나오는 논리 회로이다. 

나중에 카르노맵을 공부하게되면 INPUT에 의한 출력을 카르노맵의 배열로 나타내고 

간략화 하는 부분까지 알아보다 보면

아래의 진리표에있는 A' (A바라고 읽는다)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NAND 게이트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NAND 게이트는 AND와는 반대로 입력이 모두 1이면 출력이 0인 회로이다. 

 

 

 

그 외에도 1이면 0이 출력되는 NOR

 

 

INPUT이 서로 다르면 1인 XOR

EXOR이라고도 부른다. 

 

마지막으로  NOR...

입력값이 모두 0이면 1이다. 

 

 

여기까지가 기본적인 논리회로이며 자주쓰는 논리회로는

AND, OR, XOR, NOT 정도이다. 

 

이 논리 회로들은 AND게이트를 예를 들면 이렇게도 사용된다

 

전원이 켜지고 가동 버튼이 눌려지면 기계를 가동해라!!!

(A버튼과 B버튼이 켜진 상태이면 출력을 내보내라)

 

이런식으로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기본 게이트만 다루었고 논리회로(논리게이트)는 입력 또는 출력에 ○를 붙히면 NOT을 의미하게 된다. 

 

이런식으로 표시한다. 

 

이 내용들은 학창시절 한번은 본 내용일 것이다. 

그래도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이정도는 기본 상식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상식이라고 생각한다. 

 

연산자의 개념으로서 

 

엑셀, 프로그래밍, 하드웨어, PLC 또는 DDC , 등의 여러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기 떄문이다. 

 

본인은 이것을 배운지 20년이 넘었지만 설비관련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실제 업무에서 카르노맵을 사용한다. 

다수의 참과 거짓에 의하여 출력을 하는 프로그램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하여 소스를 간소화 하기위해 사용한다. 

 

어릴때 이딴거 배워서 어따써~!!!라고 생각하며 배웠던 것들이 나중에는 다 나에게 돌아온다!!!

 

http://pf.kakao.com/_Fcxbxbxj

 

그미의 교육실

이것 저것 공부하고 기록합니다.

pf.kakao.com

http://pf.kakao.com/_hznGxj

 

그미의 게임 정보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PC, 예판, 등의 게임정보

pf.kakao.com


http://pf.kakao.com/_RAnGxj

 

그미의 애니 정보

각종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pf.kakao.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