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로그캣 : LOG를 찍어보자

728x90
반응형

APP을 시뮬레이션 할때 로그를 남겨보자

먼저 해줘야 할 것은 자바파일의 퍼블릭 클래스 안에 아래와 같은 문구를 넣어준다

private static String TAG = "JAVA 파일명";

이것은 로그 이벤트가 어디서 발생했는지 알려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동작하는 위치에 아래와 같이 로그를 뽑아내도록 코드를 넣어준다

Log.d(TAG,"원하는 문구");

이런식으로 넣을 수도 있다

Log.d(TAG,"수치값:" + data);

그럼 로그에 java의 이름과 수치값과 data라는 변수의 값이 표시가 된다.

수치값보다 DATA가 앞에 있는 경우는 자료형 변환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귀찮은 나는 DATA는 항상 뒤에 둔다. 그럼 안해도 된다. 

나같이 귀찮은 사람은 DATA를 앞에 넣어야 할때 차라리 

Log.d(TAG, "" + data); 

이런식으로 넣어버리자. 만족스러운 꼼수다

본론으로 돌아와 해당 데이터는 logcat이라는 탭을 통해 확인가능하며

log 뒤에 붙는 알파벳은 각각

v : Verbose

I : info 정보

d : debug 디버그

w : warning 경고

e : error 오류 

를 말하며 로그캣으로 띄워보면 메세지의 색상이나 위치가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I, W, D를 많이 사용하며 본인은 E를 많이 쓴다

E가 에러 메시지처럼 눈에 잘들어와서 쓰고 사용을 안할떄는 주석을 처리 해두고 있다. 본인이 편한거 쓰자!!

 

 

http://pf.kakao.com/_Fcxbxbxj

 

그미의 교육실

이것 저것 공부하고 기록합니다.

pf.kakao.com

http://pf.kakao.com/_hznGxj

 

그미의 게임 정보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PC, 예판, 등의 게임정보

pf.kakao.com


http://pf.kakao.com/_RAnGxj

 

그미의 애니 정보

각종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pf.kakao.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