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티밍은 복수 이상의 랜카드를 하나로 구성하는 것으로 리눅스에서는 본딩이라고도 부른다.
- 주요 효과로는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 연결된 lan 포트의 수만큼 대역이 증가한다.
- 그리고 연결된 랜선중 하나가 끊기게 되면 다른 랜선으로 통신을 하게 된다.
- 단 회선이 같은 인터넷선을 분할하여 랜 포트에 연결하면 표시되는 대역은 늘겠지만 실제 통신 속도는 느려지면 느려졌지..더 빨라지진 않는다...
- 윈도우 서버에서의 티밍
- 윈도우 7/8/10/11에서 티밍
- 설정방법은 다르지만 여기서는 윈도우 7/8/10/11에서의 티밍 설정 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 (관리자 권한) 으로 명령프롬프트(CMD)를 실행하여 POWERSHELL을 입력하여 실행하자
- Get-NetAdapter 를 입력하면 랜 슬롯의 정보들이 나온다
- 여기서 New-NetSwitchTeam 명령어를 입력하여 티밍을 구성한다
- 이런식으로 티밍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이름
- 구성할 랜포트 이름
- 그리고 더이상 입력할게 없을때는 빈칸에서 엔터를 치면 설정이 완료된다
- 그리고 설정된 티밍 리스트를 확인 하고 싶을떄는 Get-NetSwitchTeam 이라고 입력
- 만들어진 티밍을 지우고 싶을 떄는
- Remove-NetSwitchTeam –name “티밍 네트워크 이름”
- 이런식으로 입력한다.
728x90
반응형

티밍은 복수 이상의 랜카드를 하나로 구성하는 것으로 리눅스에서는 본딩이라고도 부른다.
주요 효과로는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연결된 lan 포트의 수만큼 대역이 증가한다.
그리고 연결된 랜선중 하나가 끊기게 되면 다른 랜선으로 통신을 하게 된다.
단 회선이 같은 인터넷선을 분할하여 랜 포트에 연결하면 표시되는 대역은 늘겠지만 실제 통신 속도는 느려지면 느려졌지..더 빨라지진 않는다...
윈도우 서버에서의 티밍
윈도우 7/8/10/11에서 티밍
설정방법은 다르지만 여기서는 윈도우 7/8/10/11에서의 티밍 설정 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관리자 권한) 으로 명령프롬프트(CMD)를 실행하여 POWERSHELL을 입력하여 실행하자

Get-NetAdapter 를 입력하면 랜 슬롯의 정보들이 나온다

여기서 New-NetSwitchTeam 명령어를 입력하여 티밍을 구성한다

이런식으로 티밍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이름
구성할 랜포트 이름
그리고 더이상 입력할게 없을때는 빈칸에서 엔터를 치면 설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설정된 티밍 리스트를 확인 하고 싶을떄는 Get-NetSwitchTeam 이라고 입력
만들어진 티밍을 지우고 싶을 떄는
Remove-NetSwitchTeam –name “티밍 네트워크 이름”
이런식으로 입력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