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먼저 글쓴이의 개인적인 주관이 많이 들어간 글이다. 반박시 님말이 다 맞다.
아래에 기입된 CMS이외 에도 많은 CMS가 존재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홈페이지 좀 만들어 봤다...하는 사람들이 알만한 CMS는 다섯가지
1. 제로보드4
2. XE
3. 라이믹스
4. 그누보드
5. 워드프레스
이 중 현재까지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CMS는
1. 라이믹스
2. 그누보드 & 영카트
3. 워드프레스
먼자 제로보드4, XE, 라이믹스의 연관성부터 살펴보자.
역사적으로는
제로보드4는 보안상의 문제로 사용할수 없게 되었고 동일 개발자가 네이버에 흡수되어 개발한 XE가 대세가 되었으나 개발자의 퇴사로 XE는 업데이트가 중단되고 이후 나온 XE3는 여러가지~~~~문제로 망했다.
그리고 XE의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던 개발자들이 모여 XE와 거의 흡사한 라이믹스를 만들어 냈다.
아직 더 다듬어져야 한다고 보지만 현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는 제로보드 혈통의 CMS는 라이믹스뿐이다. 하지만 라이믹스의 최대의 단점은..아직은 완성도가 높지 않다는 점과 요구사양이 높다.
서버의 성능이 아니라 요구되는 PHP 버전이 높다.
(그렇다 제로보드4, XE, XE3, 라이믹스는 이 표현을 써도 될까? 싶지만...한통속이다 ㅋㅋ)

다음은 그누보드를 슬쩍 보자
그누보드의 인지도는 처음엔 바닦이였다. 하지만 제로보드4가 사용이 어려워지자 기존의 사용자는 XE를 사용할 것인다. 그누보드를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해외 점유도 1위를 자랑하는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것인가..로 갈리게 되었다.
그누보드는 기존의 제로보드4와 가정 유사한 형식으로 많은 개발자가 그누보드로 유입되었다.
그누보드의 자랑은...아무래도 영카트5라고 본다. 쇼핑몰 제작이 유용하도록 만들어졌다.
하지만 XE보다는 깊은 공부가 필요하다^^ 그누보드는 CMS로서 충분한 기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아쉽게도 개발자들에게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편의성이나 정리가 덜된 감상을 하게 되지만...그누보드도 훌륭한 엔진이라고 본다. 하지만 그누보드의 최대의 단점은....지저븐하고 타 CMS에 비해 불편함을 느낀다.

라이믹스와 그누보드는 웹적인 지식이 부족해도 공부하면 금방 결과를 만들어 낼수 있다.
반면 해외에서 상시 1위의 점유율과 현재 국내 1위의 점유율을 지키고 있는 워드프레스
이것은 공부하여 접근이 가능은 XE나 그누보드 사용자라면 다소 어려움이 있다..XE3와 유사한 형태로
테마와 모듈들이 돈만 주면 설치가 되며 완성도면에서는 우월하다. 하지만 워드프레스로 시작한다면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회사 홈페이지같이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홈페이지라면 전문적인 지식도 많이 필요하다.
여기서 요약하자만
직접만들며 투자를 최소화할 생각이면 라이믹스나 그누보드를 사용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을 생각이라면 워드프레스를 권장한다.

내 생각을 정리하면 이렇다.
내가 직접 공부하며 만들생각으로 사용한다면 라이믹스를 사용한다. 실력이 늘어갈떄마다 홈페이지도 함꼐 성장시킨다. 사이트를 통해서 여러 개발자가 친절하게 도와준다.
하지만 상업적 목적으로 만든다면 지속적으로 금전적인 투자를 할지라도 나는 완성도가 높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겠다.
내가 오너라면 돈이 좀 더 들더라도 완성도 있는 CMS의 손을 들어주겠다.
그미의 교육실
이것 저것 공부하고 기록합니다.
pf.kakao.com
그미의 게임 정보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PC, 예판, 등의 게임정보
pf.kakao.com
그미의 애니 정보
각종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pf.kakao.com
'교육 > C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E / 라이믹스] 언어에 따라 HTML 소스를 다르게 출력 (15) | 2023.03.11 |
---|---|
[CMS] XE 최초 설치시 추천 모듈 및 애드온 (7) | 2022.12.07 |
[라이믹스] CMS (라이믹스)를 설치 해보자 (2) | 2022.10.17 |
[XE/라이믹스] 게시판에서 글 작성시 회원정보 값을 가져와 자동입력 하는 방법 (0) | 2022.10.12 |
[XE/라이믹스] 네비게이션 (GNB) (0) | 2022.10.12 |